공부해서 남주자/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론 - 새로운 자신의 정체감, '사회복지전문가 또는 보육전문가'로서 앞으로 할 일에 대하여 논하시오.

nolza1004 2021. 11. 1. 16:20
반응형

※ 0. 네이버 블로그와 병행합니다.

※ 1. 유익하셨길 바라며 공감 또는 댓글 소통 좀 부탁드려요. 

※ 2. 작은 클릭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3. 몇 년 전 공부하던 자료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상업용 재배포 금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론] 새로운 자신의 정체감, '사회복지전문가 또는 보육전문가'로서 앞으로 할 일에 대하여 논하시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론

자아정체감 형성에서 여러분이 소정의 과정을 마치면 사회복지사 2급 또는 보육교사 2급의 국가자격증을 받습니다. 그러면 새로운 자신의 정체감, '사회복지전문가 또는 보육전문가'로서 앞으로 할 일에 대하여 논하시오.

자아정체감이란?

자아정체감은 Erikson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서 정의를 한 마디로 하기엔 쉽지 않은 개념이다. 주관적 측면으로서의 개인적 정체감과 객관적·사회적 측면으로서 심리사회적 정체감으로 나뉜다.

주관적 측면은 자아를 통합하는 방법에서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유지되는 동질성, 연속성이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타인에 대해 갖는 의미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보존하는데 유효하다는 사실이다. 심리사회적 측면은 어떤 집단에 대한 일치성을 내포하는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학자마다 자아정체감을 Erikson의 정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①일관성·연속성을 강조하는 학자 ②여러 가지 충동, 능력 등의 자체 발생적인 내적·역동적 체계인 자기구조로 정의하는 학자 ③개인의 독특성이 비교적 안정된 느낌을 갖는 자신에게 친숙한 것이라고 정의하는 학자 ④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 및 발달되는 것으로 자신의 상들의 복합체이며 생리적으로 짜여진 기제에 의해서가 아닌 성장과정의 대인관계에서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는 새상에서 추출되어 통합된 자기상이라고 정의한 학자 등이 있다.

여기서 앞으로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새로운 정체감을 가지고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Bourn의 정의를 기초로 서술하고자 한다.

Bourn은 자기에 대한 정의 및 심리·사회적인 상호성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방식에 따라 자아개념이 성취된다고 표현하였기에 단순한 심리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이나 사회적인 상호성에 집중하였다.

인생주기의 생애초기동안 개인이 경험하고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발달적 산물·당면하는 사회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 위해 개인 고유의 독특한 기술, 능력, 힘을 적응에서의 성취라고 하였다. 앞으로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서 다양한 케이스의 클라이언트와 협력하여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관계를 가져야 하기에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며 역할 수행 및 기관내는 물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인정을 받고 이를 통해서 자아정체감은 발달 또는 재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스로에 대한 기대감과 주위의 다양한 협력 속에서 자신에게 부족한 면은 솔직하게 인정하고 상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응형